[한반도 브리핑] "탄도미사일" vs "정찰위성"…김여정 또 막말 담화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외교·안보 이슈를 다시 정리해보는 토요일 대담 코너 '한반도 브리핑'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베이징 특파원과 연합뉴스 북한부를 거쳐 현재 국제 분야를 맡고 있는 이봉석 기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먼저 주요 이슈부터 소개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이 지난 일요일 발사체 두 발을 쐈는데, 이를 두고 남북은 이번 주초 내내 공방을 벌였습니다.<br /><br />우선 우리 합참은 북한이 일요일 오전 준중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고 발표했는데요,<br /><br />하지만, 북한은 다음날인 월요일 탄도미사일이 아니라 정찰위성개발을 위한 최종단계의 중요시험을 진행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당시 서울 용산과 인천의 모습이 담긴 위성사진도 공개했는데요, 전문가들은 이를 바탕으로 정찰위성으로서 성능이 조악한 수준이라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자 김여정 부부장이 또 막말성 담화를 발표하며 조악한 수준이라는 평가에 대해 발끈했습니다.<br /><br />이란에 이어 북한도 러시아 측에 무기를 지원했다고 미국이 발표하면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비판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반격능력 보유를 공식화한 일본이 그동안 미국의 방패 역할을 해왔던 자위대가 앞으로 가지게 될 창을 어떻게 활용할지를 두고서 미국과 본격 협의에 나섭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 백악관이 김정은 위원장을 '미스터 김'으로 부르며 대화 복귀를 촉구한 지 하루 만이죠.<br /><br />북한이 지난 일요일 탄도미사일 2발을 쐈다고 합참이 발표했는데, 어디서 쐈고 얼마나 날아갔나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지난주 북한이 고체연료 로켓엔진 실험을 했다고 전해드렸는데요,<br /><br />합참이 밝힌 발사체의 발사 장소는 이 실험을 진행한 곳과 같은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고체연료를 사용한 탄도미사일을 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었습니다.<br /><br />발사체는 고각으로 발사돼 최고고도 550㎞까지 올라간 뒤 500㎞ 정도 비행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 바깥에 낙하했습니다.<br /><br />정상각도로 발사됐다면 최대사거리가 보통 1천㎞에서 2,500㎞인 준중거리 탄도미사일, MRBM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액체연료를 쓰는 미사일일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합참이 준중거리 탄도미사일로 판단한 뒤 대통령실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를 개최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하지만, 북한은 다음날 정찰위성 시험이었다고 발표했다면서요.<br /><br />우리 군 당국은 어떤 반응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조선중앙통신은 정찰위성개발을 위한 최종단계의 중요시험을 진행한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위성촬영 그리고 데이터 전송, 지상관제체계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기본목적을 둔 시험이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북한의 발표 내용 잠시 듣고 이어가겠습니다.<br /><br /> "시험을 통하여 우주환경조건에서의 촬영기 운용기술과 통신장치들의 자료처리 및 전송능력, 지상관제체계의 추적 및 조종정확성을 비롯한 중요기술적 지표들을 확증한 데 대하여…."<br /><br />북한은 대략적인 군사정찰위성 발사 일정도 공개하며 기술적 자신감도 나타냈는데요, 내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내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내년 4월 15일 김일성 주석 생일 등이 발사 시점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의 발표와 무관하게 준중거리 탄도미사일이라는 초기 판단을 유지한다는 입장을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합참의 발표 내용 잠시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 "탐지 제원을 바탕으로 북한이 어제(18일) 발사한 것은 준중거리 탄도미사일이라는 한미 정보 당국의 평가는 변함이 없습니다."<br /><br />기본적으로 위성은 로켓에 실어 쏘는데요, 어차피 위성 로켓과 탄도미사일은 기술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반면에, 일본 정부는 "정찰위성에 관한 무언가의 시험일 가능성이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찰위성이라는 북한은 용산 대통령실 등 위성시험용으로 추정되는 사진도 공개했죠. 어떤 의도인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북한이 공개한 사진은 송도 센트럴파크와 용산 대통령실 일대 등 2장입니다.<br /><br />흑백 사진이고, 대통령실 등이 어렴풋이 보일 정도입니다.<br /><br />정찰위성의 성능을 얘기할 때 분해능이라는 말을 씁니다.<br /><br />서로 떨어져 있는 두 물체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, 즉 해상도를 말하는데요,<br /><br />북한은 이번 위성의 분해능이 20m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이 정도 수준으로는 정찰위성이라고 말하기엔 민망한 수준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분해능이 0.5m 정도는 되어야 하고 대학에서도 1m는 거뜬히 만든다는 건데요.<br /><br />잠시 전문가의 말을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 "미국의 군사정찰위성 같은 경우는 지상에 있는 10㎝ 물체까지 식별한다고 하거든요."<br /><br />미국의 전문가는 1960년대 수준이라는 평가를 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에 뒤처졌으니 그만큼 발전의 여지는 크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남한을 내려다볼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과시하려고 사진을 공개한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북한의 위성사진 공개 사흘 만인 목요일 정부는 평양 김일성광장 일대 사진을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위성사진은 흑백이었지만, 우리 정부가 공개한 건 컬러였습니다.<br /><br />나무 한 그루까지 식별이 가능해 기술 수준을 한눈에 알 수 있을 정도였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공개한 위성사진을 본 전문가들은 조악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는데, 여기에 김여정 부부장이 직접 나서서 발끈했다면서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이 담화를 냈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자주 접하셨겠지만, 남측에 대한 욕설과 비아냥이 가득해서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담화문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.<br /><br />김여정 부부장은 북한이 정찰위성이라고 발표한 데 대해 우리 측에서 나온 각종 분석과 비판을 조목조목 반박했는데요.<br /><br />우선 군사위성 치고 해상도가 너무 낮다는 지적에 대해서,<br /><br />"누가 일회성 시험에 값비싼 촬영기를 설치하고 시험하겠느냐"고 반문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북한이 ...